* 국가계약법
- 일용직 사후정산 가능
- 상용직 사후정산 불가능(현장 소장 포함 근로자)
* 지방계약법
- 일용직 사후정산 가능
- 상용직 사후정산 부분 가능(계약목적물을 직접 시공하는 현장대리인 및 현장기술자 가능)
* (계약예규)정부 입찰`계약 집행 기준
제94조(대가지급시 정산절차 등)
③ 계약담당공무원은 제1항 내지 제2항 절차에 따라 사업자 부담분의 국민건강보험료 등에 대한 납입확인서의 금액을 정산하되, 다음 각호와 같이 정산한다. <신설 2008.11.1, 개정 2010.9.8. 2016.12.30.>
1. 일용근로자는 해당 사업장단위로 기재된 납입확인서의 납입금액으로 정산한다.
2. 생산직 상용근로자(직접노무비 대상에 한함)는 소속회사에서 납부한 납입확인서에 의하여 정산하되 현장인 명부 등을 확인하여 해당 사업장 계약이행기간 대비 해당 사업장에 실제로 투입된 일자를 계산(현장명부 등 발주기관이나 감리가 확인한 서류에 의함)하여 보험료를 일할 정산한다. 다만, 해당 사업장단위로 보험료를 별도 분리하여 납부한 경우에는 제1호를 준용한다. <개정 2012.1.1.>
* 지방자치단체
제9절 보험료 사후정산 요령 등
다. 정산대상과 증빙서류
계약담당자는 계약상대자가 제출한 보험료 납입확인서(사업주와 개인의 부담금을 포함하여 납부한 금액 중 사업주 부담금) 금액을 확인하여 다음 각 호와 같이 정산한다.
1) 일용근로자는 해당 사업장 단위로 기재된 납입확인서의 납입금액으로 정산한다.
2) 상용근로자(직접노무비 대상에 한하며, 계약목적물을 직접 시공하는 현장대리인을 포함한다)는 소속회사에서 납부한 납입확인서로 정산하되 현장작업일지, 감독관 근무일지, 임금대장, 출근부 등 증빙서류를 첨부하여 해당 사업장 계약이행기간 대비 해당 사업장에 실제로 투입된 일자를 계산하여 보험료를 일할 정산한다. 다만, 상용근로자가 해당 사업장 단위로 보험료를 별도 분리하여 납부한 경우 “1)”을 준용한다.
* 건설현장의 건강연금보험료 사후정산제도
출처 . https://blog.naver.com/dowon2038/221595271871
건설현장 상용근로자의 건강연금보험료 사후정산
안녕하십니까, 건설전문 노무법인 도원입니다. 건설업체 건설일용직의 사회보험(건강/연금)은 사후정산제도...
blog.naver.com
'..ㄱ > 건설. 업무 & 공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료 사후정산 근거(원,하도급) (5) | 2023.09.25 |
---|---|
현장대리인과 현장관리인 차이. (0) | 2023.09.22 |
적격심사와 간이종심제 기준.(추정가격) (0) | 2023.09.21 |
자재 공급원 승인 요청ㆍ결과통보 내용..(건설사업관리 CM) (0) | 2023.09.19 |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인정(공동주택) (0) | 2023.09.15 |